-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5. 직무핵심역량(본인이 지원한 직무의 핵심역량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공기업 면접 필살 답변 2022. 5. 23. 22:34728x90
안녕 공린이들?
사실 오늘 다룰 질문은 23. 직무수행강점이랑 똑같은 질문이야.
23. 직무수행강점 답변전략을 안보고 왔다면 보고오길 바래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3. 직무수행강점(직무수행에 있어 자신의 강점은 무엇이라 생
안녕 공린이들? 오늘은 면접에서 필수 질문이자 특히, 직무 면접에서는 무조건 물어보는 질문 때로는, 왜 ...
blog.naver.com
그런데 왜 따로 분리했냐하면
면접에 따라서 직무수행강점 관련 질문을 물어보고 또
”자신의 직무능력 중 가장 자랑할만한 것은 무엇입니까?“
이렇게 또 직무능력을 질문하는 경우가 있어.
그래서 직무능력 관련 답변은 항상 스페어를 준비해야해.
그리고 가지고 있는 스펙에 따라서 이번 답변전략이 더 좋을 수도 있어.
그래서 오늘은 또 다른 직무능력 답변 전략을 다룰까해.
1. 직무능력 관련 질문을 왜 또 물어볼까?
실제로 면접관들이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질문을 해놓고,
말을 중간에 끊은 뒤에 ”준비한 것 말고 다른 것 해보세요.“
이렇게 나오는 경우가 있어.
그러면 공린이들은 어버버하기 십상이지.
그렇다면 왜 면접관들은 직무수행능력을 한번 더 물어보거나
다른 직무수행능력을 말하라고 할까?
첫 번째 이유는 면접준비도 및 면접태도를 보는거야.
면접 준비를 잘했다면 이런 상황까지 대비하겠지.
그래서 다른 대답해보세요라고 했을 때 잘 대처한다면
면접 준비도 및 면접 태도가 그만큼 좋은거고
어버버 한다면...제대로 준비를 안한거야.
그러니 절대로 어버버 하지말고 직무능력 만큼은 두 번째 스페어 답변을 준비해야해.
두 번째 이유는 직무수행능력을 물어보면
직무수행태도를 말하는 지원자들을 제외하면, 중고신입은 경력을
신입들은 자격증 기반으로 많이 말하는데
사실 그건, 입사서류로도 확인할 수 있거든.
그래서 재차 물어보면서 입사서류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을 보려고 하는거야.
2. 답변전략
이번에 직무능력 관련 2번째인 만큼
다른 전략을 말해줄까 해.
입사지원서의 정량평가
그러니깐 교육사항, 자격증, 어학점수와 같은 지표들은
그 자체로 능력을 보장하지만
취득기간이나 개수, 자격증의 난이도가 이 사람을 뽑아야 겠다는 근거로 작용하기도해.
무슨 말이냐.
예를 들어, 아래의 세 사람이 있어.
김시바 지원자
컴퓨터활용능력2급(취득일자 2022.05.01.)
전산회계 2급 (취득일자 2022.05.15.)
이라마 지원자
컴퓨터활용능력2급(취득일자 2022.01.01.)
전산회계 2급 (취득일자 2022.06.15.)
박취업 지원자
컴퓨터활용능력1급(취득일자 2022.01.01.)
전산회계 1급 (취득일자 2022.06.15.)
위 세명 중 사무분야 전문성이 가장 뛰어난 지원자는?
당연 박취업이야. 둘다 컴퓨터활용능력 1급, 전산회계 1급이지.
이공계에서 쌍기사, 상경계에서는 컴퓨터활용능력 1급과 다른 재무회계 또는 금융자격증 최상위 자격증은 다른 지원자들에 비해 전문성이 뛰어나다는 증거자료가 될 수 있어.
그래서 직무전문성이 강점이고
2급 자격증이 있는 지원자들과 비교하여 전문성을 표현할 수 있지.
그러면, 시간관리능력이나 목표달성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김시바 지원자야. 자격증 취득 일자를 봐.
같은 기간 그것도 대학으로 치면 중간고사와 겹치는 시험준비 기간에
2개의 자격증을 딴거야.
그래서 자격증을 내세워 전문성을 표현하고, 취득 기간을 통한
시간관리능력, 목표달성능력을 내세울수 있는거지.
교육사항의 경우는
직무유관 과목의 개수가 15개 이상이면 대부분 기관에서 만점 수준이야.
그러니 15개 이상일 경우 직무 전문지식을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어.
특히, 직무기술서의 필요 지식 부분에 해당하는 과목들이 있다면 더더욱, 그래서 반드시 교육사항을 가지고 작성할 땐 직무기술서를 참고해가면서 적어야해.
거기에 만약 외부교육기관(대학이나 특성화고가 아닌)에서 직무와 유관한 교육을 받았다면,
적극성 또한 평가 받을 수 있고, 기관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선 이런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00기관을 준비하면서 이런 실무교육들을 들었다라고 표현할 수 있어.
지금까지 간단한 답변전략이었는데.
공통점은 바로 정량평가를 근거로 하고 있다는 거야.
사례 중심으로 면접을 봐야 한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사례는 근거가 없어. 그래서 면접위원들은 입사서류에 있는 정량지표를
더 믿는 편이야.
그렇기 때문에 입사서류에 기재된 정량평가를 기반으로 답변한다면
더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거지.
3. 답변 예시
자, 예시 잘봤지?
정량평가 지표가 내세울게 없다면 모르겠는데,
만약 정량평가 지표 중 시바쌤이 말한 것 중 해당사항이 있다.
그러면 그것을 기반으로 설득력있는 직무역량을 표현할 수 있어.
시바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lichadly
시바n라마 취업연구소 : 네이버 블로그
공기업 대기업 취업의 든든한 지원군 시바n라마 취업연구소
blog.naver.com
시바n라마 유투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yvUL20BV5QowvUMbmYccg
시바n라마 취업연구소
공기업, 대기업 취업 준비 시바라마 취업연구소와 함께!
www.youtube.com
728x90'공기업 면접 필살 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7. 팀워크능력(팀워크는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0) 2022.05.26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6. 협업능력(상사와 의견이 다른 경우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0) 2022.05.23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4. 고객응대, 조직적합도(나이가 많으신 분들을 상대한 경험이 있습니까?) (0) 2022.05.23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3. 직무수행강점(직무수행에 있어 자신의 강점은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0) 2022.05.12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22. 기관산업이해도(우리 기관이 속한 산업과 그 특징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0)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