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
-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36. 책임감(야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공기업 면접 필살 답변 2022. 7. 21. 14:00
흠...질문부터가 난감하지? 야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라니... 야근이라면...뭐 돈주고 야근시키면 못할 것도 없지. 공기업은 야근 수당은 주니깐. 하지만, 공기업에 가고 싶은 이유가 워라벨인데... 야근이라니..참 그렇다고 “야근 꼭 하고 싶습니다!” 이렇게 답변하는게 정답은 아닐 것 같단 말이야. 이제부터 이 난감한 질문을 파해쳐보자. 1. 책임감 질문은 왜 물어볼까? 이 질문에 대해서 공린이들은 “야근”이라는 단어에 꽃혀 하지만, 이 질문은 “책임의식”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야. 그래서 1차 면접, 2차 면접이 있다면 보통 1차는 실무, 2차는 임원(인성)면접이지? 그래서 주로 2차 면접에서 나오는 항목이지. 그렇다면 책임의식은 무엇인가? NCS에서 말하는 책임의식은..
-
[시바n라마] 공기업 면접 모범답안_19. 조직VS개인(만약, 약속이 있는데 상사가 야근을 시킨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공기업 면접 필살 답변 2022. 5. 10. 22:30
압박면접 질문중에 하나인 조직 VS 개인 이 질문의 경우 잘못 답변하면 끊임 없는 압박질문, 꼬리 질문이 들어와. 만약에~로 시작하는 답변은 끝없는 꼬리 질문을 야기하니 절대로 하지 말 것. 이런 경우야 “만약에 중요하지 않은 약속이라면 야근을 하겠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가족이 아프면?”과 같은 엄청난 압박 꼬리 질문이 들어오겠지... 이 질문은 사전에 준비하기도 어렵고 준비한다 하더라도 꼬리질문을 피하기 힘든 질문이지. 그래서 꼬리질문이 나오지 않게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답변이 중요해. 그러면 이제부터 이 현기증 나는 질문을 해결해보자. 1. 왜 조직 VS 개인 질문을 할까? 상황형 면접에서 주로 나오는 질문이지?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조직가치관 VS 개인가치관이 충돌하..